Wisdom기록보관소

Docker로 DB나 webserver 컨테이너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 리소스는 얼마나 잡아먹나 작업관리자로 들어가 봤다. Vmmem이 녀석인거 같다. (virtual machine memory?) Docker로 아무것도 안했다. 켜놓기만 했다. 데스크탑은 RAM은 넉넉하지만 내 노트북은 거슬리는 정도의 RAM을 차지한다. 할당된 메모리를 줄여보자. 참고로 MacOS에서 Docker Desktop에서는 위와 같이 친절하게 GUI로 조절이 가능 했다. CPU코어, 메모리, 스왑 메모리, 디스크 할당영역? 까지... 왜 windows에서는 다른거지??? WSL2 기반?으로 구동되는 설정으로 windows에서 관리하라고 한다. ( WSL2로 docker를 사용하는 사용자만 해당하는 내용이다) ( Windows..

개발자를 하면 Linux와 Unix기반의 MacOS를 접하면서 terminal을 예쁘게 꾸며서 사용을 많이 한다. 단순 미관상뿐 아니라 생산성 높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다들 좋다고들 하느거 같다. WindowsOS도 WSL로 리눅스 명령어등 패키지도 받아서 실행되고 Linux꾸며놓은걸 따라 하지 되던데 문제는 WSL로는 WindowsOS에 설치된 실행명령어 환경변수가 다른것을 쓰고 있고 별개로 돌아가는지 따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라기 보다는 power shell도 다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에 찾아서 따라해 봤다. (서론이 너무 길다 읽는 사람도 없는데...ㅋ)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자!!! 아무튼 power shell을 꾸며보자! Install oh-my-posh 이..

MySQL을 많이 사용하다가 유로로 넘어가면서 사용빈도가 줄어드는거 같다. 또 호환되던 MariaDB도 점점 호환을 끊는다? 뭐 이런것도 있지만 다른 RDB도 알고 가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개인 프로젝트에 다양한 DB를 사용하는걸 연습해 볼 생각이다. 결국 PostgreSQL을 간단하게 사용법을 익혀보자! 가 되겠다. Install Docker로 Container를 올려 사용하는거기에 사실 설치도 없다. 명령어 하나로 해결하자 $ docker run --name some-postgres -e POSTGRES_PASSWORD=mysecretpassword -d postgres Container를 구동! 환경변수?설정?으로 초기비밀번호만 설정해주면 된다. 이외에도 초기유저 이름, db경로등 변수 파라미터가 있..
도커 Volume이란? 파일 변경 사항을 UnionFS을 통해 관리! -> 이것 부터 무슨 얘기인지 잘 모르겠다 UnionFS : Unionfs is a filesystem service for Linux, FreeBSD and NetBSD which implements a union mount for other file systems. - 출처 위키피디아 UnionFS - 리눅스용 파일 시스템 서비스라 합니다. UnionFS는 이미지 layer와 write layer를 합쳐 컨테이너의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결국 컨테이너 삭제시 write layer도 삭제 ->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데이터도 역시나 같이 사라짐! 해결법? volume을 옵션을 사용하자! 저장소를 호스트의 저장소와 연결해서 컨테이너를 삭제해..